티스토리 뷰
슈퍼 게임 개발자 오렐리는 큰 고민에 빠졌다. 그녀가 만든 프랜즈 오천성이 대성공을 거뒀지만, 요즘 신규 사용자의 수가 급감한 것이다. 원인은 신규 사용자와 기존 사용자 사이에 스테이지 차이가 너무 큰 것이 문제였다.
이 문제를 어떻게 할까 고민 한 그녀는 동적으로 게임 시간을 늘려서 난이도를 조절하기로 했다. 역시 슈퍼 개발자라 대부분의 로직은 쉽게 구현했지만, 실패율을 구하는 부분에서 위기에 빠지고 말았다. 오렐리를 위해 실패율을 구하는 코드를 완성하라.
- 실패율은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 스테이지에 도달했으나 아직 클리어하지 못한 플레이어의 수 / 스테이지에 도달한 플레이어 수
전체 스테이지의 개수 N, 게임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현재 멈춰있는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긴 배열 stag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실패율이 높은 스테이지부터 내림차순으로 스테이지의 번호가 담겨있는 배열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하라.
코딩테스트 연습 - 실패율 | 프로그래머스
실패율 슈퍼 게임 개발자 오렐리는 큰 고민에 빠졌다. 그녀가 만든 프랜즈 오천성이 대성공을 거뒀지만, 요즘 신규 사용자의 수가 급감한 것이다. 원인은 신규 사용자와 기존 사용자 사이에 스테이지 차이가 너무 큰 것이 문제였다. 이 문제를 어떻게 할까 고민 한 그녀는 동적으로 게임 시간을 늘려서 난이도를 조절하기로 했다. 역시 슈퍼 개발자라 대부분의 로직은 쉽게 구현했지만, 실패율을 구하는 부분에서 위기에 빠지고 말았다. 오렐리를 위해 실패율을 구하는 코드를
programmers.co.kr
풀이 - 실패(정답률 48.1%)
function solution(N, stages) {
var answer = [];
for(let i = 0; i < N; i++) {
let curStage = stages.filter(val => val == i+1).length;
let clearUser = stages.filter(val => val >= i+1).length;
let result = 0;
if(clearUser == 0 || curStage == 0) {
result = 0;
} else {
result = curStage / clearUser;
}
answer.push([i+1, result]);
}
return answer.sort((a,b) => b[1] - a[1]).map(val => val[0]);
}
1. 스테이지 순서대로 순회하도록 for문을 돌림
2. 현재 스테이지에 있는 사람수를 curStage에 넣음
3. 도달한 사람 수를 구해 clearUser에 넣어줌(이미 스테이지를 깬사람 + 현재 스테이지에 있는 사람)
4. 그리고 현재 스테이지에 사람이 없거나, 도달한 사람이 없으면 실패율을 0처리
5. 그렇지 않으면 curStage를 clearUser로 나누어 실패율을 결과에 넣어줌.
6. 정답 배열에 현재 스테이지 넘버와 결과를 배열로 담아줌
7. 정답 배열값에서 두번째 값들, 즉 실패율을 비교하여 정렬하고, 첫번째값들만 map()으로 추출하여 리턴함
그런데 정답이 아님..ㅠㅠ 어디가 잘못된 것일까
다른 사람의 풀이 (feat. 이지대리님!)
function solution(N, stages) {
let _temp = [];
stages.sort(function(a, b) {
return a - b;
});
let j = 0;
for(let i = 0; i < N; i++) {
// 기본값 0
_temp[i] = {index : i+1, cur : 0, err : 0};
for(; j < stages.length; j++) {
if(i+1 == stages[j]) {
// 머물러있는사람
_temp[i].cur++;
} else if(i+1 < stages[j]){
break;
}
}
// 총 도달한 수
let total = stages.length - j + _temp[i].cur;
if(total != 0) {
// 실패율
_temp[i].err = _temp[i].cur/total;
}
}
return _temp.sort((a, b) => {
return a.err == b.err ? a.index - b.index : b.err - a.err;
}).map(v => v.index);
}
1. 가장 먼저 빈 배열은 하나 생성함
2. 스테이지 배열을 정렬해줌
3. j=0으로 설정
4. 스테이지를 순회하기 위해 for문을 돌림
5. 빈배열에 오브젝트 리터럴로 인덱스, cur, err를 넣어주는데 이때 cur, err의 기본값은 0으로 설정함
6. for문 안에서 다시 한번 for문을 도는데 이때 인덱스 j는 for문 바깥에 있는 그것임ㅇㅇ. stages의 길이만큼 돌림
7. 만약, i+1, 즉 스테이지 번호가 stages[j] 값과 같으면 cur값을 1 증가시킴 → 현재 스테이지에 있는 사람 수 구하기
8. i+1이 stages[i] 보다 작으면 break로 for문을 종료함 (← 이래서 앞에서 스테이지 배열을 정렬했나보다)
9. 총 도달자 수 total은 stages의 길이에서 j를 빼고, cur를 더한 수. 이때 j는 위에 for문을 돌고 변경된 값임
10. 만약에 총 도달자수가 0이 아니라면, err는 temp배열 안의 cur값을 total로 넣은값임
11. 배열을 err 기준으로 정렬하는데, 같으면 index를 기준으로, 그렇지 않으면 실패율이 높은 것을 앞으로 정렬.
12. map() 으로 결과의 인덱스(스테이지 수) 반환
'1Day 1Algorithm'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Y 31] 문자열 다루기 기본 (0) | 2019.11.01 |
---|---|
[DAY 30] 문자열 내 마음대로 정렬하기 (0) | 2019.10.31 |
[DAY 28] 문자열 내 p와 y의 개수 (0) | 2019.10.29 |
[DAY 27] Truck tour (0) | 2019.10.27 |
[DAY 26] Queue using Two Stacks (0) | 2019.10.26 |
- Total
- Today
- Yesterday
- sort()
- 배치처리시스템
- javascript
- Array
- 알고리즘
- 프로그래머스
- reduce()
- Algorithm
- greedyAlgorithm
- Props
- 시분할시스템
- 1day1algorithm
- OS
- 멀티프로그래밍
- js
- 리액트
- 구간합
- Webpack
- 배열
- 웹팩
- 자바스크립트
- React
- 우아한테크러닝
- 운영체제
- 타입스크립트
- Typescript
- redux-saga
- 자료구조
- sort
- 컴퓨터공학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