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컴퓨터공학

[자료구조] 순차탐색과 이진탐색

walk_through_me 2019. 10. 14. 15:25

순차 탐색(Sequential search)

  • 특정한 원소를 찾기 위해 원소를 순차적으로 하나씩 탐색 O(N)의 시간복잡도를 가짐
  • 검색할 리스트의 길이가 길면 비효율적
  • 검색 방법 중 가장 단순하여 구현이 쉽고 정렬되지 않은 리스트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이진탐색(Binary search)

  • 오름차순으로 정렬된 리스트에서 특정한 값의 위치를 찾는 알고리즘. 탐색 범위를 절반씩 좁혀가며 데이터를 탐색
  • O(logN)의 시간 복잡도를 가짐
  • 처음 선택한 중앙값이 만약 찾는 값보다 크면 그 값은 새로운 최댓값이 되며, 작으면 그 값은 새로운 최솟값이 됨
  • 검색 원리상 정렬된 리스트에만 사용할 수 있다는 단점이 있음
  • 검색이 반복될 때마다 목표값을 찾을 확률은 두 배가 되므로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있다.

 

 

 

 

참고 | Wikipedia, Fast campus 컴퓨터 공학 전공 필수

'컴퓨터공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료구조] 우선순위 큐  (0) 2019.10.14
[자료구조] 이진트리  (0) 2019.10.14
[자료구조] 기수정렬  (0) 2019.10.11
[자료구조] 계수정렬  (0) 2019.10.11
[자료구조] 퀵정렬  (0) 2019.10.11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글 보관함